최근 기존 및 새로 지어지는 컨벤션의 복합개발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컨벤션 가동률 하락에 따른 운영수입 감소를 부대사업으로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코레일은 서울역 일원에 대형 회의실(7500명), 전시장(2만6500㎡) 등 컨벤션 시설과 오피스 빌딩, 호텔(360실), 백화점, 아트플라자, 야외공연장 등을 갖춘 국제컨벤션센터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서울 상암동에 건립되는 DBC 랜드마크빌딩에도 지하 1층∼지상 8층 규모의 컨벤션 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며, 잠실 복합컨벤션단지 개발도 검토되고 있다.


일산 KINTEX, 부산 BEXCO, 대구 EXCO, 창원 CECO,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등 기존 컨벤션도 기존 시설의 확대·증축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킨텍스(주)는 현재 공사중인 제2전시장을 회의·전시 중심의 제1전시장과달리 활성화시설(1만1176㎡), 업무시설(1만8394㎡) 등을 갖춘 복합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최근 지자체들의 경쟁적인 컨벤션 개발로 공급과잉 및 적자운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경남 밀양·창녕)이 조사 발표한 ‘전시컨벤션센터 재정지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요 컨벤션센터 12곳 중 aT 센터, 창원 CECO 단 2곳만 60% 이상 가동된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적자가 100억 이상 누적된 곳도 △일산 킨텍스(294억원) △제주 국제컨벤션(263억) △광주 김대중컨벤션(185억) △대구 엑스포(106억) 등 4곳이나 됐다.


지자체들이 수익성 악화에도 불구하고 컨벤션 개발에 나서는 것은 △전시장 임대료 수입 △지역경제 활성화 △관광객 유치 △지역 이미지 개선 등 컨벤션 및 국제행사 유치가 지방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컨벤션 운영에서 적자를 보더라도 국제 행사 유치로 인한 파급효과를 고려하면 손해가 아니라는 계산이다.
특히 수익성 감소에 대한 대책으로 기존 및 신규로 개발되는 컨벤션의 복합화 흐름이 두드러지고 있다.


킨텍스 관계자는 “기존 회의·전시 중심의 컨벤션은 비수기 낮은 가동률로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하기 곤란한 측면이 있다”며 “항시 방문객이 킨텍스를 찾을 수 있도록 복합개발 및 부대시설 활성화를 추진해 킨텍스를 복합문화 단지로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복합 쇼핑몰, 오피스 등 부대사업 활성화는 컨벤션 수요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