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임진택 기자] 부산항만공사(BPA)는 28일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BPEX)에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관련 긴급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부산항 이용고객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부산항 이용선사, 수산업계, 물류기업 등 10여 개 업체가 참석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러시아 선박·화물에 대한 제재조치는 관련 업계의 경영악화뿐 아니라 물류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크다는 입장이다. 
이런 만큼 정부와 유관기관이 EU의 러시아 선박 입항 금지와 같은 강력한 대(對)러 제재조치에 신중하게 접근할 것을 요청했다. 
EU의 사전 예고 없는 러시아 선박 및 화물 제재로 인해 러시아 화물이 유럽 허브항만에 임시 하역되며 물류 혼란이 가중된 바 있다.


부산항과 러시아 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21년 기준 약 83만TEU로 중국(630만TEU), 미국(330만TEU), 일본(291만TEU) 다음으로 많다. 
환적 물동량은 지난 5년간 연속 증가했고 2020년 이후에는 연평균 성장률이 35%에 이른다. 


코로나19로 인한 물류대란 장기화로 해상운임이 폭등하자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가는 화물 운송에 바닷길 대신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TSR)를 이용하면서 TSR 연계 복합운송시장이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일본발 유럽향 화물을 부산항에서 환적 후 러시아 TSR로 복합운송하면 해상운송 때보다 기간이 최소 16일이 단축되고 비용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로 러시아로 향하는 화물 선적예약이 잇따라 취소되며 극동 러시아를 기항하는 일부 선사들이 정기노선 운항을 중단했다.
3월 현재 부산항의 극동러시아 정기노선은 당초 15개에서 5개가 줄어 10개만 운영 중이다. 


BPA 강준석 사장은 “러-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해운·물류업계 전반에서 경영 악화가 예상된다”며 “업계 애로를 파악하고 건의사항을 수렴해 부산항 이용고객이 러시아 연관 사업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