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최지희 기자] 정부가 성장잠재력이 높고 고부가가치 산업인 항공정비(MRO)산업의 체계적인 육성에 나선다. 
이를 통해 지난해 7000억 원에 불과했던 국내 MRO 시장규모를 오는 2030년 5조 원까지 키운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12일 ‘항공MRO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까지 국내 MRO 정비물량 중 70%(지난해 기준 44%)를 국내에서 처리하고 지난해 7000억 원이었던 국내 MRO 시장규모를 2030년까지 5조 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국내 MRO 물량 확대 지원 △가격경쟁력 확보 △항공정비 기술역량 강화 △MRO산업 성장 기반 조성 등을 추진한다. 


우선 국내 MRO 물량을 늘리기 위해 운수권 배정 때 국내 MRO산업 기여도 등을 감안하고 국내 정비를 위해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 공항사용료를 감면하는 등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했다. 
정부·항공사·업계 합동으로 해외 정비물량의 국내 유턴 지원을 위한 협의회도 상시 운영, 해외 외주 정비물량의 국내 유턴과 외항사 물량 유치를 지원키로 했다. 


국내 민간업체에서 정비가 가능한 군 정비물량은 점진적으로 민간정비로 전환하고 해외정비만 가능한 군용기 부품의 국산화 등을 통해 지난해 3500억 원 규모였던 국내 민간정비 물량을 내년까지 5100억 원 이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대부분의 정비용 부품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 업체의 정비 비용 절감을 위해 항공기 정비 분야 주요 교역국인 싱가포르에서 수리·개조후 재수입하는 부품에 대한 관세를 일시 면제하는 등 항공부품 관세부담 완화를 추진한다.


국내 업체가 개발한 부품의 상용화 인증을 지원하고 국내 업체 간 기상레이더, 통신장비 등 주요 예비품 공동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부품 사용자변경 사전승인을 사후신고로 개선해 불필요한 예비품 보유비용 경감을 유도키로 했다. 
또 항공산업발전조합을 설립해 자금력이 부족한 MRO업체와 연관기업 등에 투자·융자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오는 2030년까지 선진국의 90% 수준까지 기술향상을 목표로 MRO 분야 기술로드맵을 마련하고 핵심 정비기술 등 파급력이 큰 기술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집중투자한다. 
항공기 정비시간 단축 등을 위해 육안확인이 어려운 동체, 날개 점검 때 인스펙션 드론을 활용한 첨단정비 방식을 연내 도입하고 장기적으로는 드론 촬영 영상분석 때 인공지능(AI) 딥러닝 기술을 접목, 결함을 자동검출할 수 있는 시스템도 내년 상반기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현재 지역별로 분산 추진되고 있는 MRO클러스터 간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사천공항 기체중정비·군수, 인천공항 해외 복합 MRO업체 유치 등 지역별 특화 분야를 육성한다.
국내 정비조직 인증만으로도 항공기 정비가 가능토록 항공기 정비 분야에 대한 ‘한-미 항공안전협정(BASA)’ 체결을 추진하고 국내 인증 활성화를 위해 인증 인력양성 전문교육과정 개발과 인증수요 기업 대상으로 인증 컨설팅도 제공키로 했다. 
국내에서 개발한 유·무인기, 항공부품의 안전성 인증 및 성능시험 등을 지원하기 위해 내년 6월까지 고흥에 비행종합시험 인프라를 구축할 계획이다. 


국토부 노형욱 장관은 “우리나라 MRO 산업은 제작기술 부재, 정비수요 부족, 높은 인건비 등으로 인해 업체의 자생적 노력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대책을 통해 해외 정비의존도를 30% 이내로 줄이고 국내 정비시장 규모를 7배 이상 확대하는 등 세계 7위의 항공운송산업 규모에 걸맞은 MRO 산업 육성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