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전병수 기자] 정부가 오는 2025년까지 전국에 83만6000가구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함에 따라 시멘트, 레미콘, 철근 등 건설자재 수급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단기간에 많은 주택건설이 이뤄져 자재 수요의 일시적인 쏠림현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83만6000가구 대단위 주택공급 계획이 발표되자 시멘트, 철근, 레미콘 등 건설자재업계가 수요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정부의 계획대로 주택건설이 차질 없이 추진될 경우 자재업계는 코로나19 확산과 경기부진에 따른 그동안의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시멘트와 레미콘 등 기초자재의 경우 공장 가동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러나 수요의 일시적인 쏠림으로 인해 철근 등 일부 품목은 생산과 공급에 차질을 빚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PHC)파일과 같은 품목은 사전에 재고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을 경우 수급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시멘트는 쌍용, 성신, 한일, 한일현대, 삼표, 아세아, 한라 등 생산업체들의 생산능력이 연 6150만t에 달해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평가다. 업체들은 최근 10년간 연평균 4700만~5600만t을 생산해왔다. 내수시장에 4500만~5000만t을 공급하고 100만t은 수출로 내보냈다.


공사 성수기에 일시적으로 물량이 집중될 경우 공급이 다소 지연될 수는 있으나 현장 공급에는 문제가 없다는 분석이다. 다만 운송과정에서 운임 등을 둘러싸고 벌크시멘트 트레일러(BCT) 운송사업자와 마찰이 생길 경우 지역별로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이 높다. 선박수송이나 열차수송은 불안요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육상수송만큼 불안하지는 않다.


레미콘도 업체들의 생산능력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전국 925개 업체 1083개 공장의 생산능력은 6억3000만㎥에 달한다. 레미콘업계는 최근 10년간 연평균 1억5000만㎥의 제품을 생산해 공급했다. 하지만 레미콘은 다른 품목에 비해 변수가 많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제품을 원활하게 생산하기 위해서는 우선 원자재인 시멘트와 모래 자갈 등 골재, 부자재인 혼화제 등을 적시에 공급받아야 한다. 시멘트는 적기에 공급을 받을 수 있으나 모래는 장담할 수 없는 실정이다. 절대적인 양을 차지하는 바닷모래의 채취절차가 까다롭고 민원이 많기 때문이다. 관건은 골재업체들이 이를 극복하고 적기에 채취해 공급할 수 있느냐 하는데 있다.


철근은 국내업체들의 생산량과 수입량 등을 고려하면 수급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3년 간 국내 시장에는 연평균 1000만t 안팎의 철근이 공급됐다. 전체 업체들의 생산능력이 1200만t에 달한다. 


철근은 전체 생산량이나 생산능력을 놓고 보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하지만 규격이 다양해 일부 규격에만 수급 균형이 무너져도 건설현장에 차질이 발생한다는 취약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수요가 일시에 집중될 경우 국지적인 수급 불안이 야기되고, 시장의 주도권이 제강사 쪽으로 넘어가 건설사와의 거래관계에서 가격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 PHC 파일은 일정기간 양생기간이 필요한데다 운송이 어려운 중량물이기 때문에 재고 확보가 필수적이다. 생산업체들이 사전에 주문을 받아 재고를 확보하지 않는 한 일시적인 품귀를 빚을 가능성이 높다.


자재업계는 83만 가구 주택 건설 현장에 필요한 자재를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건설업계와 자재업계 간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예상되는 투입시기와 투입량 등을 조율해 수급 불안 요인을 사전에 제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재업계 한 관계자는 “단기간에 대규모의 주택이 건설되는 만큼 생산업체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면서 “자재조달 차질로 인한 현장의 공정 지연을 막기 위해서라도 건설업계와의 정보교환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