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가 1년 전보다 40만 명 가까이 줄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등의 여파로 5월 취업자가 2693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39만2000명 감소했다. 3월(-19만5000명)과 4월(-47만6000명)에 이어 3개월 연속 하락세다. 실업자 수는 127만8000명에 달해 5월 기준으로 1999년 통계 작성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실업률도 4.5%로 사상 최대였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등 관계장관들은 취업자 수 감소폭이 4월에 비해 약간 나아진 점을 들어 일자리가 개선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용 통계를 뜯어보면 정부 주장은 견강부회에 가깝다. 정부가 국민 세금으로 만든 질 낮은 노인 일자리를 제외하면 고용 상황이 나아졌다고 할 만한 근거를 찾기 힘들다.


 60대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줄었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가 18만3000명 줄면서 4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5만7000명 줄면서 3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여전히 현실과 동떨어진 얘기만 하고 있다. 60대 이상의 취업자 수 증가도 정부 노인일자리 사업의 영향이 컸다. 이같이 세금으로 단기 일자리를 만든 것은 한계가 있다. 고용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문제는 앞으로다. 코로나19 사태로 휴업·휴직이 이어지면서 5월 일시휴직자가 102만 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8만5000명이나 줄었다. 일시휴직자는 잠시 일을 중단한 사람으로 실제로 일한 시간은 없지만 취업자로 분류된다. 지금처럼 고용여건이 불투명하면 실업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3차 추가경정예산안만 통과되면 일자리 사정이 나아질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코로나 확진자 추이가 어떻게 될지 모르는 불안한 상황을 고려하면 섣부른 낙관론은 금물이다. 지금처럼 유리한 통계를 앞세워 현실을 왜곡해서는 안된다. 국내 경기 둔화, 수출 감소 등 코로나 ‘2차 충격’에 따른 고용 리스크가 큰 상황인 만큼 정부는 근거 없는 낙관론 대신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