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후현 기자] 건설산업의 스마트화를 위해 정부가 도입기반을 조성하고 지원하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법과 제도가 까다로워 도입이 쉽지 않은 상황인 데다 업체 규모가 작을수록 인식과 도입계획도 낮은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 건설’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세분화된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12일 서울 논현동 건설회관에서 ‘스마트 건설 생태계 구축을 위한 혁신 전략 모색 세미나’를 열어 스마트 건설 현황과 확산 전략을 제시했다.


먼저 건산연 손태홍<사진> 미래기술전략연구실장은 스마트 건설기술의 인식과 활용의 차이가 커 기술 전략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건산연이△BIM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드론 △모듈러 △3D 프린팅 △증강·가상현실(AR·VR) △지능형 건설장비 및 로봇기술 등 7대 스마트 건설기술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업체 규모와 업종별로 인식과 활용 수준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201개 건설기업의 29.4%가 BIM을 모르며 55.2%는 전혀 활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가운데, 소규모 전문건설기업의 경우 32.6%가 모르며 60%가 활용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모듈러의 경우도 대형 종합건설기업은 68.8%가 활용하고 있었으나 전문건설기업은 5.3%에 그쳤다.


종합건설의 43.8%, 전문건설의 39.7%는 5년 이내로 스마트 건설기술이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했으나, 도입계획은 종합건설이 44.5%, 전문건설의 경우 16%에 그쳤다.


이어 이광표 부연구위원은 건설산업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건설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건설산업 스마트화의 바탕이 되는 건설 소프트웨어 산업을 위해서는 활발한 스타트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건설기업의 스타트업 투자 부족과 규제로 작용하는 법과 제도, 건설산업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창업 지원사업 등의 한계로 핀테크 등 스타트업 선도산업에 비해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 부연구위원은 정부 차원에서 건설형 규제 샌드박스 도입, 기술 도입과 스타트업에 대한 실질적 우대 정책 등 진입 기반 조성과 함께 투자 위주의 육성 정책을 통한 질적·양적 성장을 선도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기업도 건설 스타트업과의 협력, M&A 등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박희대 부연구위원은 공동주택 부문에 치중된 모듈러 건설의 활성화를 위해 국가 차원의 중장기적 전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모듈러 건설은 기술자 고령화와 청년유입 감소, 생산성 침체 등에 직면한 우리 건설산업이 지향해야 할 방향이지만 발주제도와 계약방식, 설계기준 등의 제약에 가로막힌 실정이라는 것이다.
박 부연구위원은 공공공사의 일정 비율을 모듈러로 조달하거나 주택건설기금 활용, 모듈러 기술개발 투자기업에 세제 혜택 지원을 제공하는 등 해외 사례를 들며 국가적 차원의 중장기적 전략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건산연 이상호 원장은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의 기술 도입 의지도 중요하나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정부의 폭넓은 지원 정책이 우선시 돼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