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경제신문 조후현 기자]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와 관련, LG화학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됐다.

사고의 절반이 LG화학 배터리에서 발생한 가운데, 특정시기에 제조된 물량에서만 사고가 발생해 리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서울 금천구)은 ESS 화재에 대한 조사 결과, 이 같은 지적을 제기했다.


지금까지 일어난 ESS 화재사고 26건 가운데 14건, 절반 이상이 LG화학 배터리의 사고였다.
특히 14건 화재 모두 지난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배터리시스템과 열악한 설치환경이 아닌 전력변환장치(PCS) 등의 문제였다면 왜 2018년 이후 만들어진 제품에서는 단 한 번의 화재도 일어나지 않았는지 합리적 의심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이 의원은 배터리와 배터리보호시스템에 결함이 없다면 외부 충격이 들어오면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구성된 ‘배터리 랙’이 발화지점으로 지목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지난해 9월 충북 다니엘영동태양광 ESS 화재 발화지점을 배터리 모듈로 추정했고, 지난 5월 경북 칠곡 사고도 LG화학 배터리에서 시작됐다.
배터리 결함이 아닐 경우 PCS에서 발화돼 배터리로 전도됐다는 것이 증명돼야 하나 그러지 못 했다는 것이다.


또 정부는 국과수가 일부 화재사고에 대해 발화지점을 배터리 모듈로 추정했음에도 국회에 자료를 제출할 때는 파악불가라고 보고했다.
또 민관합동조사에서는 화재 원인과 관련, 배터리와 배터리 보호시스템에 관련된 내용이 많았으나 정부는 여러 상황을 뒤섞어 발표해 정확한 원인 파악에 혼란을 초래했다는 지적이다.


해당 시기에 만들어진 LG화학의 배터리는 국내에만 198개소가 있고, 해외까지 포함하면 1500억 원의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의원은 LG화학의 ESS배터리를 자발적으로 리콜해야 한다고 요청했으나, LG화학은 연말까지 원인분석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겠다는 입장만 밝힌 상태다.


이 의원은 “글로벌 리더기업으로 전 세계 배터리 시장을 선점하겠다는 사람들이 사건은 은폐하고 물밑에서 쉬쉬하며 합의를 종용해서는 안될 일”이라며 “지금이라도 자발적 리콜을 진행하는 것이 당장의 손해보다 미래의 신뢰와 세계시장을 점유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