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뭄·홍수 등 상상을 초월한 기상이변이 매년 발생하며 인명 재산피해 등 사회적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맞서 정부와 지자체는 하수관거 확장과 대심도 저류조 등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비용과 효과면에서 한계에 부딪힌 상황이다. 기후변화가 우리 방재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있다. 이에따라 저비용 고효율의 선진 방재 대책은 무엇인지 3회에 걸쳐 살펴보았다.<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대형화에 예측불가… 폭우가 늘어난다
②작은 아이디어가 수해 막는다
③하드웨어 한계 소프트웨어로 넘자<끝>

-------------------------------------------------------------------------

지난 2011년 7월 26일부터 27일까지 이틀간 서울과 수도권에는 엄청난 양의 폭우가 내렸다.

이 기간 중 서울에 내린 강우량은 471㎜로 장마 기간 중 내린 강수량의 절반이 넘는 양이었다.

당시 폭우로 인해 우면산 산사태가 발생, 16명이 사망하고 2명이 매몰됐다.
안전을 자부하던 서울시는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 7월 22일에도 서울 강남과 경기도 지역에 내린 폭우로 가옥과 차량 침수 피해가 잇따랐다.

서울의 경우 송파구 144.5㎜, 강남구 141.5㎜, 동작구 134.5㎜, 관악구 131.5㎜를 기록했다.

같은 날 경기도 여주는 302.5㎜, 광주 270.5㎜, 원주 230㎜, 이천 221㎜, 양평 219.5㎜가 내렸다.

 

올 여름 한반도는 폭염과 폭우로 몸살을 앓았다.
중부지방에는 연일 폭우가 계속된 반면 영동과 남부지방은 폭염이 계속됐다.

북태평양 고기압과 북쪽의 찬 공기가 중부지방 상공에서 머무르며 국지성 호우를 뿌렸기 때문이다.

 

돌발적인 날씨 탓에 기상청의 예보도 빗나가기 일쑤였다.

지난 7월 22일 기상청은 경기북부지역에 비가 집중될 것으로 예보했으나 실제로는 경기남부에 폭우가 쏟아졌다.

기상청은 서울과 경기 남부에 30∼80㎜의 강우량을 예보했지만 실제로는 10배가 넘는 337㎜의 비가 내렸다.


폭우와 폭염 등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있다.
100년 만에 한번 있을까 말까한 이상기후가 전세계적으로 매년 반복되면서 방재에 비상이 걸렸다.

 

16일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경기도 침수피해액은 지난 2005년 61억원이던 것이 지난 2011년에는 3106억원으로 급증했다.

서울시도 지난 2011년 7월 기습 폭우로 주택 1만2746가구와 자영업체 3230곳에 대한 응급복구 비용으로 193억원을 지원했다.

 

계속되는 기상이변에 방재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하수도의 시설용량은 5년에서 10년 빈도의 폭우에 대응하도록 설계돼 있으나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30년으로 상향하는 것을 추진했다.

 

전문가들은 전통적인 방재 시설용량 확충 전략은 한계에 도달했다는 분석이다.

100년에 한번 올까 말까한 폭우가 매년 쏟아지는 상황에서 시설용량을 아무리 키워도 강우량을 완벽하게 커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반복적으로 피해가 발생하는 지역이 많지 않으므로 시설용량을 키우는 것은 예산 투입 대비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강남지역의 경우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적 증가와 열섬현상 때문에 매년 폭우가 반복되지만 그밖의 지역은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다.

지난해 춘천에서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일어났지만 올해는 다른 지역인 춘천 공지천이 범람했다.

또 지난해 원주와 여주에서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면 올해에는 군산과 여수에서 피해가 컸다.

 

국토연구원 국가도시방재연구센터 심우배 센터장은 “엄청난 돈을 들여 저심도 저류조 등의 시설을 해 놨는데 사용빈도가 적다면 경제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일본의 경우 예산문제로 방재시설 확충이 중단된 사례가 있는 만큼 토털방재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