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에 빠진 국내 건설기업의 경쟁력 확보와 새로운 해외시장 개척을 위한 방안으로 그린빌딩산업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국내 그린빌딩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육성 의지와 구체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해외 사례 분석과 함께 국내 그린빌딩 육성을 위한 과제를 4회에 걸쳐 짚어 봤다. <편집자>

 

<글 싣는 순서>

① ‘그린빌딩’ 미국 건설산업 견인한다

②국내 그린빌딩산업 어디까지 왔나?

③그린빌딩 육성, 정부 정책의지에 달렸다

④ 전문가 좌담- 그린빌딩 어떻게 할 것인가?<끝>

-----------------------------------------------------------------------------------------------------


미국 서부 캘리포니아주는 지난 2010년부터 새로 지어지는 공공건축물에 미국 그린빌딩 위원회(USGBC)가 만든 친환경 인증(LEED) 실버 이상인증을 의무화하고 있다.

캘리포니아주는 강력한 그린빌딩 정책을 통해 그린빌딩 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두고 있다.

 

워싱턴주는 세계 최초로 그린로드인증제(greenroads)를 개발, 시범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린로드인증제에는 △중장비 에너지 사용량 저감 △도로포장에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저온화 등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 조처 △투수성포장공법 적용을 통한 홍수예방과 주변환경 영향 최소화 공법 등이 담겨 있다.

워싱턴주는 그린로드 부문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미국의 100대 건설기업이 지난 2007년부터 2008년까지 그린빌딩 설계 및 건설시장에서 매년 6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중 이들 기업은 그린빌딩 부문에서만 400억 달러에 육박하는 매출을 달성했다.

이같은 성장세는 미국 기업들이 건설 경기 침체를 이겨낸 원동력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의 그린빌딩 포트폴리오는 건축 중심에 벗어나 점차 인프라 부문으로 영역을 확대 중에 있다.

도로의 경우 녹색도로 인증 시스템이 개발됐으며 공항, 항만에 있어서도 관련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의 그린빌딩 시장이 선순환 구조로 정착한 데는 연방정부가 예산 통제와 사업 인허가권을 통해 발주청을 동참시킨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은 지난 2007년 ‘대통령 선언문’에서 대통령 직속기구인 기획 및 예산국(OMB)이 공공기관에 대한 국가 예산 통제권을 행사하도록 했다.

 

이같은 조치는 국가 예산을 통제함으로써 공공기관들이 정부의 그린빌딩 정책에 적극 동참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발주청이 입찰시 사업계획에 명시한 친환경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문가 투입, 실적, 기술을 제시하면 설계엔지니어링사나 건설업체들은 기준 충족을 위해 노력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처럼 미국이 그린빌딩 육성에 적극 나서는 것은 자국 시장 육성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 확대를 통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그린빌딩 선진국의 평가되는 일본과 영국의 경우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그린빌딩 육성을 위해 국가차원의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설계나 시공, 재료 등을 담당하는 건설회사의 노력만으로는 목표 달성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부의 그린빌딩산업 육성 의지와 구체적인 실행 방안 마련이 중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경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 침체로 힘들었는데 그린빌딩산업이 건설경기 부진을 커버하는 데 일조했다”며 “향후 10년도 그린빌딩 시장을 통해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