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글로벌 도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프라투자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일 소공동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글로벌 톱 5도시를 향한 서울시의 인프라 투자방향 세미나’에서는 인프라 투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졌다.

 

이날 세미나는 대한건설협회 서울시회와 서울시의회 건설위원회가 공동 주최했으며 서울시의회 김춘수 건설위원장과 건협 서울시회 박종웅 회장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서울시립대 도시공학과 강명구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침체기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하고 있는 영국 런던과 발전동력을 상실한 미국 디트로이트시의 사례 비교를 통해 서울시의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강 교수는 “도시의 발전과 쇠퇴에는 10년 정도가 걸린다”며 “서울시가 적기에 투자를 확대하지 않는다면 일자리 감소 등 침체에 접어들 수도 있다”고 말했다.

 

꼴지 수준인 서울의 행복지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정자본 즉 인프라 투자를 늘리고 고급인재를 적극 영입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정창무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1000만 서울 시민과 잃어버린 시민인 230만 법인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정책입안자의 관점이 아닌 시민의 시각에서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의 인프라 투자 관심도 저하와 이로 인한 사업 차질을 우려하는 주장도 나왔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 박용석 연구위원은 “서울시 전체 예산에서 인프라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007년 49%에서 올해 28.9%로 축소됐다”며 “도로와 철도, 환경 등 기존에 수립된 사업의 적기 준공을 위해서는 6000억원의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박 연구위원은 서울시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인프라 사업으로 △1·2호선 전철 및 철도 일부구간 지하화 △신분당선 연장 및 7개 경전철 추진 △노후주택 정비 모델 수립 등을 제시했다.

 

서울시 천석현 도시안전실 국장은 “서울시가 의도적으로 인프라 예산을 축소한 것은 아니다”라며 “특히 저류조 건설 등 도시안전에 필요한 예산은 철저하게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토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